본문 바로가기
웅코2414의 경제

로제가 '아파트'로 번 돈, 무려 ○○억! 실화냐?

by 웅코2414 2025. 5. 18.
반응형

2024년 10월, 블랙핑크의 로제와 세계적인 팝스타 브루노 마스가 협업한 곡 '아파트(APT.)'가 발매되자마자 글로벌 음원차트를 강타했습니다.

단순한 컬래버레이션을 넘어 K-POP과 팝의 경계를 허물며 폭발적인 인기를 끈 이 곡은, 2025년 5월 현재까지도 각종 차트 상위권에 랭크되어 있으며 수익 면에서도 전례 없는 성과를 보였습니다.

그렇다면 과연 로제는 '아파트'를 통해 얼마를 벌었을까요?

이번 글에서는 스트리밍 수익, 음반 판매 수익, 광고 및 브랜드 협업 수익, 공연 및 페스티벌 수익 등 세부 항목을 기준으로 로제가 벌어들인 수익을 구체적으로 분석해보겠습니다.

 

로제 아파트로 벌어들인 수익

스트리밍 수익: 약 133억 원

'아파트'는 발매 2주 만에 스포티파이에서 약 1억 8천만 회, 유튜브에서는 약 2억 5천만 회 이상 재생되며 세계적인 흥행을 입증했습니다.

KBS Joy의 프로그램 '이십세기 힛-트쏭'에 따르면, 이 곡의 스트리밍 수익만 약 133억원에 달한다고 알려졌습니다.

이는 단순 음원 수익만을 의미하며, 여기서 로제가 가져가는 몫은 계약 조건에 따라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퍼포먼스 로열티 및 가창료 기준 20~30% 수준으로 추정됩니다.

즉, 스트리밍 수익에서만 로제는 약 26억원에서 최대 40억원까지 가져갔을 것으로 보입니다.

 

음반 판매 수익: 약 50억 원 (추정)

'아파트'는 디지털 싱글이지만, 한정판 피지컬 앨범과 포토북, LP 버전 등의 굿즈 형태로도 판매되었습니다.

유사한 사례로, 엑소의 '으르렁'은 음반 판매만으로도 약 105억원을 기록했는데, '아파트' 역시 글로벌 팬덤의 구매력과 피지컬 앨범 선주문 완판 사례를 감안하면 보수적으로 추산해도 약 50억 원 규모의 매출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중 로제에게 배분되는 수익은 소속사와의 계약에 따라 다르나 약 10~20%로 보면, 약 5억~10억원을 벌었을 것으로 예측됩니다.

 

광고 및 브랜드 협업 수익: 약 80억원 이상 (추정)

로제는 본래부터 Yves Saint Laurent, Tiffany & Co. 등 글로벌 명품 브랜드의 앰배서더로 활동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아파트'의 흥행으로 그녀의 글로벌 인지도는 더 상승했고, 광고 출연료도 대폭 인상되었다는 보도가 이어졌습니다.

새로운 브랜드와의 협업은 물론, 기존 파트너십 연장 시 단가가 상승한 점 등을 고려하면, '아파트' 발매 이후 약 6개월간 광고 및 협업으로만 최소 80억원 이상의 수익이 발생했을 것으로 추산됩니다.

이 부분은 온전히 로제 개인 수익으로 잡히는 경우가 많아, 대부분의 금액이 로제 몫으로 봐도 무방합니다.

 

공연 및 페스티벌 수익: 약 100억원 이상 (추정)

'아파트'의 성공은 로제 단독 콘서트와 각종 글로벌 페스티벌 참여로도 이어졌습니다.

유튜브 채널 '음악산업의 모든 것'에서 공개한 바에 따르면, 로제는 2025년 상반기에만 아시아와 유럽 투어를 통해 약 107억원 규모의 공연 수익을 올렸다고 합니다.

이 수익은 대부분 공연 기획사와 매니지먼트 소속사, 그리고 아티스트 본인 간에 분배되는데, 대형 기획사의 경우 보통 아티스트에게 약 30~40%가 돌아간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 기준을 적용하면 로제는 공연 수익에서만 약 32억원에서 43억원 정도의 수익을 얻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로제의 최종 수익 정리

수익 항목 총 발생 수익 (추정) 로제의 수익 (예상)
스트리밍 133억원 26~40억원
음반 판매 50억원 5~10억원
광고 및 브랜드 협업 80억원 이상 80억원 이상
공연 및 페스티벌 100억원 이상 32~43억원
총합계 363억원 이상 143~173억원

 

결론적으로, 로제는 '아파트(APT.)'를 통해 단일 프로젝트로만 최소 143억원에서 최대 173억원 이상의 수익을 올린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K-POP 여성 솔로 아티스트 중에서도 유례없는 기록이며, 그녀의 브랜드 파워와 음악적 역량이 얼마나 큰지 다시 한번 입증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향후 그녀의 솔로 활동뿐 아니라 블랙핑크 전체의 가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 분명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