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웅코2414의 경제

9.54% 청년도약계좌, 진짜 이율일까? 꼼꼼하게 따져봤습니다!

by 웅코2414 2025. 5. 12.
반응형

요즘 청년들 사이에서 가장 핫한 금융 키워드는 단연 ‘청년도약계좌’입니다.
그런데 최근 ‘최고 9.54%’ 금리라는 충격적인(?) 수치가 등장하면서 많은 청년들이 혼란에 빠졌습니다.

“진짜로 연 9.54%를 준다고?”
“이 정도면 무조건 해야 하는 거 아냐?”
“언제까지 가입 가능해?”

이번 글에서는 청년도약계좌의 실체와 함께
9.54%의 의미, 가입 조건, 절세 혜택, 유의할 점까지
현실적인 시선에서 모두 풀어드리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이율 9.54%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2023년부터 도입된 정부지원 청년 자산형성 상품입니다.
만 19세~34세 청년이 가입 가능하며, 최대 5년간 납입하면
정부가 납입액에 매칭 지원금 +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가입 조건 요약

▶ 나이: 만 19세~34세

▶ 개인소득: 연 7,500만 원 이하

▶ 가구소득: 중위소득 180% 이하

▶ 근로 또는 사업소득이 있는 자

▶ 본인 명의 금융계좌 1개만 가능

 

 금리는 어떻게 9.54%가 되는가?

자, 이제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부분입니다.
과연 “9.54%”라는 금리는 어떻게 산출되었을까요?

 기본 구조는 이렇습니다.

 

항목 항목
기본이자 은행 상품 (약 3.5~4%)
정부지원금 최대 2.4% 수준 매칭
비과세 혜택 이자소득세 감면으로 약 1.5~2% 효과
추가효과 장려금 포함 시 최대 약 9.54% 도달 가능
 

※ 해당 수치는 저소득 청년 기준, 5년 만기 기준 누적 혜택을 연 환산한 수치입니다.
즉, 모든 가입자가 무조건 9.54%를 받는다는 뜻은 아닙니다.

 

얼마나 모을 수 있을까?

 매월 70만 원씩, 5년간 납입 시

항목 항목
총 납입금 4,200만 원
이자 + 정부지원금 약 1,500~2,000만 원
최종 수령액 최대 약 6,000만 원까지 가능
 

정부지원액은 소득구간에 따라 차등 지급되며,
소득이 낮을수록 매칭비율이 높아집니다.

 

 무조건 해야 할까? 주의사항은?

▶ 1인 1계좌만 가능: 청년희망적금과 중복 불가
▶ 중도해지 시 패널티 발생
▶ 가입 시기, 소득구간에 따라 혜택 다름
▶ 정기납입이 원칙, 불입금액 조절 불가
▶ 고정금리 아님 → 시중금리에 따라 수익률 변동

즉, 5년간 꾸준히 납입할 수 있는 청년에게만 유리한 구조입니다.

 

절세효과도 크다

청년도약계좌의 또 하나의 강점은 이자소득세 비과세 혜택입니다.

▶ 일반 예적금: 이자소득세 15.4% 부과

▶ 청년도약계좌: 최대 비과세 + 소득공제 효과 있음

 특히 연말정산에서 근로소득공제 항목에 포함될 수 있어
실질적인 세금 절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주요 은행 금리 비교 (2025년 5월 기준)

은행 기본금리 최고우대금리 비고
KB국민은행 3.5% 최대 6.0% 우대 조건 달성 시
신한은행 3.8% 최대 6.5% 모바일 전용 우대 포함
NH농협 3.6% 최대 6.2% 자동이체 시 우대
우리은행 3.7% 최대 6.3% 청년우대 이자
 

9.54%는 정부지원 혜택 포함한 최대 수익률 기준입니다.

 

가입 마감일은?

현재는 2025년 상반기까지 가입 가능하며,
추가 연장 여부는 미정입니다.

인기 폭발로 조기 마감될 수 있으므로,
자격 요건이 된다면 서둘러 가입 상담을 받는 것이 유리합니다.

 

누구에게 적합한가?

청년도약계좌가 유리한 경우

▶ 매월 50~70만 원 납입이 가능한 청년

▶ 5년간 중도해지 없이 유지할 수 있는 사람

▶ 연 소득 4,000만원 이하의 근로자

▶ 정부지원금 및 비과세 혜택을 극대화하고 싶은 경우

반대로, 납입 여력이 부족하거나 단기 자금이 필요한 경우
청년도약계좌보다는 일반 예적금 상품이 더 현실적일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