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TX 정기권으로 월 몇 만원 아낄 수 있을까?
출퇴근비 줄이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GTX가 개통되며 많은 직장인들의 통근 시간이 줄어든 건 사실입니다.
하지만 “빠른 대신 비싸다”는 불만도 여전하죠.
서울-수도권을 오가는 요금이 왕복 9,000원을 훌쩍 넘는 경우도 흔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GTX 정기권’이라는 단어에 귀가 솔깃한 분들 많으실 겁니다.
그렇다면 정말로 정기권으로 월 몇만 원 이상 아낄 수 있을까요?
단순한 광고성 정보가 아니라, 실제 계산을 통해 현실적인 절약액까지 알려드리겠습니다.
✔ GTX 정기권이란?
GTX 정기권은 국토교통부가 운행하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를 지정된 기간(보통 1개월)에 한해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교통권입니다.
📌 정기권 종류
▶ 30일권(1개월 기준)
▶ 노선별 정기권 (예: 킨텍스 ↔ 서울역)
▶ 운임은 거리별로 차등 적용
2024년 기준으로 GTX-A 구간(운정~동탄)에 한해 정기권이 운영되고 있으며,
이후 GTX-B, C 노선으로 확대될 예정입니다.
✔ 정기권 요금과 일반 요금 비교
예시 ① 운정역 ↔ 서울역 (GTX-A)
▶ 1회 편도 요금: 약 4,300원
▶ 왕복 1일: 8,600원
▶ 월 20일 출퇴근: 8,600 × 20 = 172,000원
▶ GTX 정기권(운정-서울역) 가격: 약 131,000원
📌 절약액
172,000원 - 131,000원 = 41,000원 절약
예시 ② 용인역 ↔ 삼성역 (GTX-A)
▶ 1회 편도 요금: 약 3,800원
▶ 왕복 기준: 7,600원
▶ 월 20일 이용: 152,000원
▶ 정기권 요금: 약 115,000원
📌 절약액: 약 37,000원
✔ 정기권의 절약 효과는?
구간 | 일반 월 통근비 | 정기권 요금 | 절약 금액 |
운정-서울 | 172,000원 | 131,000원 | 41,000원 |
용인-삼성 | 152,000원 | 115,000원 | 37,000원 |
동탄-서울 | 180,000원 | 138,000원 | 42,000원 |
▶ 대부분 월 35,000원~45,000원 정도 절약 가능!
✔ GTX 정기권, 이렇게 신청하세요!
1. 코레일톡 앱 설치 → “정기승차권” 메뉴 진입
2. 노선 선택 (운정서울, 동탄삼성 등)
3. 신청 후 모바일 QR 코드로 이용 가능
4. 교통카드 연동 가능 (일부 구간 한정)
✅ 1일 2회 이상 왕복할 일이 있다면?
절약 효과는 두 배! 하루 두 번 이용하면 월 80,000원 이상도 아낄 수 있습니다.
✔ 이런 분들에게 강력 추천합니다!
▶ 서울 외곽에서 서울 중심부로 통근하는 직장인
▶ 매일 GTX를 타야 하는 학생 및 취업 준비생
▶ 교통비를 고정비로 줄이고 싶은 분
▶ 가끔이 아니라 매일 타는 사람
▶ 고속버스 대신 GTX로 환승한 경우
✔ 주의사항도 체크하세요!
▶ 30일 정기권은 ‘1개월’이지 ‘1달력월’이 아님 → 구매일 기준 30일
▶ 휴가, 외근 많은 직장인은 실질 이용횟수 따져야 유리
▶ 환승 할인은 적용 안 됨 (정기권 내 별도 환승은 X)
▶ 정기권 소지자는 일반 교통카드와 혼용 불가
통근비 절약, 생각보다 확실합니다.
많은 분들이 GTX는 빠르지만 비싸다고 생각합니다.
맞는 말입니다. 하지만 정기권을 활용하면 이야기가 완전히 달라집니다.
월 34만원이 작아 보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1년이면 4050만 원, 5년이면 200만 원 이상의 차이가 됩니다.
‘버는 것보다 아끼는 게 빠르다’는 말, GTX에도 그대로 적용됩니다.
오늘도 고단한 출퇴근길에 오르는 여러분,
GTX 정기권으로 한숨 줄이고, 지갑은 지켜보세요.